한국고용정보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공동으로 상반기 주요업종 일자리 전망을 발표했다.
기계, 조선, 전자, 섬유, 철강,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국내 8개 주력 제조 업종과 건설업, 금융 및 보험업에 대한 2021년 상반기 일자리 증감에 대해 전망하고 있다(고용보험 피보험자 자료,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 경제활동인구조사 기준).
전망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대비 전자·반도체 업종 일자리는 증가하는 반면, 조선 업종 일자리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계.섬유.철강.자동차.디스플레이.건설.금융보험 업종은 지난해 상반기 고용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은 업종별 일자리 전망이다.
[기계] : 유지
기계 업종은 주요국의 인프라 투자 중심 경기 부양책으로 일반기계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며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경제 활성화에 따른 ICT 산업 호황이 예상되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수요 증가가 예측된다. 국내 기계 수요 또한 정부의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정책 등으로 설비 투자와 기계 수주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백신 상용화 전까지 경기 불확실성이 존재해 성장세에는 제한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기계 업종 고용은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상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0.1%(1천 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조선] : 감소
코로나19의 확산, 글로벌 봉쇄 심화 및 유가하락 등으로 2020년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전년 대비 33.9% 감소하였으나, 2021년은 EU의 온실가스 배출권 규제, EEXI 시행 예상 등으로 발주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2020년 수주량 감소의 영향으로 2021년 일감이 감소하였고 신규 선박 발주가 생산에 이르기까지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2021년 상반기 조선 업종 고용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상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5.6%(6천 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자] : 증가
?2021년 전자 업종 생산은 전자.IT 성장세 회복, 5G 서비스 확대로 인한 전자부품(메모리, 시스템 및 OLED 패널 등) 수요 증가로 소폭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기저효과, 5G 스마트폰 교체 수요의 본격 확대로 3년 연속 침체되었던 휴대폰 수요가 빠르게 회복될 것으로 보이며 비대면 업무 및 서비스 확대로 컴퓨터 및 주변기기 시장 또한 2021년에도 소폭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시황이 개선됨에 따라 고용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상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6%(11천 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섬유] : 유지
섬유 업종 수출은 세계경기 회복, 기저효과 등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글로벌 경쟁 심화, 중국 제품의 품질 향상에 따른 국산 제품 대체의 영향으로 증가폭은 제한될 것으로 예상된다. 내수 생산 역시 민간소비가 회복됨에 따라 증가하지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소비심리 회복이 지연됨에 따라 큰 폭으로 증가하지는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섬유 업종 고용은 지난해 상반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상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0.5%(1천 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철강] : 유지
철강재 내수는 제조업 및 건설 등 주요 수요산업의 전방위적 타격으로 2020년에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였으나, 2021년에는 회복하여 5천만 톤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동남아, 인도 등 철강시장 침체로 인해 철강재 수출은 2021년 3천만 톤 이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충격의 영향으로 내수 및 수출이 동반 침체를 보임에 따라 전년 대비 감소세를 보였던 철강 업종 생산은 2021년 국내외 경제 상황이 빠르게 개선될 경우 코로나19 확산 이전에 근접하는 수준까지 회복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철강 업종 고용은 전년 동기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상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4%(2천 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반도체] : 증가
2021년도 세계 반도체 시장은 모바일, 서버, 컴퓨터 등과 관련된 수요 확대로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반도체 수출 역시 전년 대비 10.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역대 2번째 1,000억 달러 이상의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시황이 개선됨에 따라 설비투자 역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처럼 반도체 생산 및 수출이 증가하고 관련 설비투자가 확대됨에 따라 반도체 업종 고용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상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2.9%(4천 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자동차] : 유지
2020년 정부의 성공적인 방역 및 내수 활성화 정책으로 내수판매는 증가하였으나 전세계 자동차 수요 감소에 따른 수출 부진으로 국내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였다. 2021년에는 완성차 업체의 다양한 신차 투입, 코로나19 사태 안정화에 따른 전세계 자동차 시장의 회복, 국산차의 상품 경쟁력 제고 등으로 수출이 증가하여 전년도 생산 감소분 만회가 예상된다. 하지만 국내 자동차 내수는 실적호조를 보였던 지난해 수준에 미치지 못함에 따라 생산 증가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자동차 업종 고용은 전년 동기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상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0.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디스플레이] : 유지
2021년 전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은 비대면 IT 제품 확대와 프리미엄 OLED 수요 증가로 전년 대비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모바일TV 시장에서의 OLED 수요 확대와 폴더블폰, 롤러블 TV 등 프리미엄 제품 생산 확대로 OLED 시장이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고 TV용 LCD 가격 상승과 온라인 교육, 화상회의 등 비대면 IT 제품 수요 증가로 LCD 시장 역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디스플레이 역시 OLED 수출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LCD 생산의 경우 가격 상승과 비대면 업무 및 서비스 관련 제품 수요 확대에도 불구하고 생산라인 폐쇄 및 축소의 영향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업종 고용은 지난해 상반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상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4%(2천 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건설] : 유지
건설 수주는 2020년 들어 공공 부문 수주도 증가했지만 민간 부문 주택 수주 증가에 힘입어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2021년에는 지난해 큰 폭으로 건설 수주가 증가한 데 따른 조정 기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주택과 비주택 건축 수주가 제한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건설 수주 증가세는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8년 이후 감소세를 보였던 건설 투자는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회기반시설 관련 정부 및 공공기관 투자를 바탕으로 토목 건설 관련 투자는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최근 상대적으로 부진한 민간 건설 투자, 건물 건설 투자도 점차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건설 업종 고용은 전년 동기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상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4%(28천 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보험] : 유지
은행 등 금융권의 대출은 증가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 기업 대출은 코로나19 확산과 함께 크게 증가했는데 2021년에도 뉴딜 정책 추진과 함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기업 대출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가계 대출 역시 전세 대출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전세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대출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은행 수익률은 예대마진 하락, 대손비용 증가로 하락할 것으로 보이며 안전자산 선호, 금융플랫폼으로의 고객 이동도 수익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험 업종 역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손해보험의 경우 신규 보험 판매 증가폭은 축소되지만 손해율 개선 등의 효과로 수익성이 개선되지만 생명보험은 저금리 상황이 장기화됨에 따라 운용수익률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금융 및 보험 업종 고용은 지난해 상반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상반기 고용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0.4%(3천 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